블로그 포스트를 작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 루틴으로 실험하고 정리한다.

✅ 작성 배경 (2025‑07‑28)

앞선 포스트들이 각각 독립적인 문제 해결 중심이었다면, 이번 포스트는 ChatGPT와의 작업 히스토리 누적을 기반으로 주제를 자동 도출하고 정리하는 흐름을 실험한다.

매일 ChatGPT와 대화를 주고받으며 Agent까지 연동하는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 그중 블로그에 기록할 만한 흐름이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경우, ChatGPT가 이를 인지해 요약/문서화하고, Agent가 자동 포스트를 생성하는 구조를 구성했다.

🧩 포스트 작성 흐름 요약

그동안의 내용을 바탕으로 ChatGPT가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주제를 정리하면 Agent가 이를 포스트한다.

📌 Post #1~3은 자동화의 결과

ChatGPT 작업 중 흐름 요약 정리 장면을 아래 이미지에서 볼 수 있다. 대화에서 포스트 주제로 정리할 흐름이 감지되면 ChatGPT에 초안 및 시각 자료를 요청하고, 생성된 결과를 Agent 요청 포맷으로 변환해 포스트로 출력한다.

이 글 자체가 매주 반복될 자동화 루틴의 첫 사례이자 결과물이다.

  • ChatGPT에게 누적된 대화에서 포스트 주제 선정 및 초안 및 시각 자료 정리 요청

  • 포스트 내용은 채팅 캔버스에서 정리한 다음 md로 저장하여 Agent에 전달.
  • 생성된 결과를 Agent 요청 포맷으로 변환해 포스트로 출력함

📍 후기

ChatGPT 사이드 : 수집되어있는 이미지 중에 중요한 이미지 다수를 활용하지 못함.

  • 파일 제목에 더 많은 정보를 담아서 작성해야 할 것 같다.

Agent 사이드 : 이미지 이동 및 링크 확인에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렸다.

  • 이미지 다루는 방식과 포스트 생성 요청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인간 사이드

  • 자동화 포스트 완료 단계에서 부적절한 이미지 정리와 부실한 내용을 발견해 수작업으로 수정했는데, 추가 개선과정을 자동화할 방법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 Blog 자체에는 조금 더 적절한 메뉴와 프레임 구성 마크다운 포멧을 적용할 예정이다.
  • 매주 자동 요약 → 포스트화 → Agent 자동 처리 흐름을 정착시켜볼 예정이다.
  • 사용자 개입을 최소화 하여 완전 자동으로 블로그 컨텐츠를 추가하는 것이 목표이다.

Next

  • 보편적인 메뉴, 네비게이션 화면 구성
  • Post용 마크 다운 포멧 개선
  • 언어 변경 기능 추가

Updated: